2019년 4월 12일 금요일

맛은 진화한다 | 안주 페엣

음식 맛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짠맛,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떫은맛, 감칠맛의 7가지이다.

새로운 음식을 먹을 때, 맛이 있는지 아닌지는, '영양분'이 풍부한 지와, '독성'이 없는 지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결정을 위해, 입의 미각, 코의 후각, 씹는 촉감, 귀의 청각, 눈의 시각 등 여러 가지 감각을 종합하여 판단한다.


하지만, 이런 감각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신체 내부로 들여놓기 직전에 접촉에 의해 정밀 조사할 수 있는, 입에서 느껴지는 감각이다.

미각은 인간에게 너무도 중요해서, 보름 이내에 완전히 새로 만들어지기를 반복한다. 그래서, 모든 감각 기관 중에 가장 건강하며, 시각, 청각 등과 달리, 맛을 못 느끼게 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짠맛은 바다에서 탄생한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성분이다. 생명체는 전기 제품이라 할 수 있는데, 양과 음의 극성을 갖는 물질이 서로 밀어내고 당기면서, 물질의 이동과 신호 전달이 이루어진다. 바다의 염분은 이온화될 때 양의 극성을 갖는 금속과, 음의 극성 물질로 이루어져, 모든 생명체의 기초 구성 물질이 되었다.


Animation showing sodium and chlorine bonding ionically, with transfer of energy indicated. By Tra, 2007.


매일 소량의 소금이면 충분하지만, 육지는 바다와 달리 소금이 귀해, 소금에 대해 필요보다 강한 욕구가 생겼다. 거친 운동 등에 의해 땀으로 염분이 배출되면, 소금 맛이 짠맛이 아닌 단맛처럼 느껴지는 이유이다.

이에 더해, 나무 위에서 과일과 어린 나뭇잎을 주식으로 하던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미각은 단맛, 쓴맛이다.


The evolution of man. By Ernst Haeckel, 1897.


단맛은 영양이 풍부한 잘 익은 과일을 가려낼 수 있기 때문에, 좋은 느낌이 되었다. 고양이는 단맛을 느끼지 못하는데, 인간이 단맛을 느끼게 된 것은 과일이 주식이었기 때문이다.

다른 동물과의 경쟁 등으로 영양이 부족하기 쉽던 인류는, 단맛에 대해서도 강한 욕구를 가지게 되었다.

쓴맛은 식물의 독성 성분을 알아내는 기능으로, 인간은 쓴맛을 가려내는 감각 수용체(T2R)가 어떤 다른 맛보다 다양(25 개)하다.


신맛도 식물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독성 물질이지만, 쓴맛과는 다르게 느껴진다. 주식인 과일에는 대부분 신맛이 있기 때문에, 당분을 위해서는 참아야 하는 성분이기 때문이다. 또, 동물이 스스로 만들지 못하지만 꼭 필요한 영양소 중 하나인 비타민 C가 신맛 과일에 있기 때문에, 독성처럼 불필요하지만은 않다.


떫은맛은 주로 입에서만 느껴지지는 하지만, 덜 익은 과일과 나뭇잎에 항상 존재하는 피할 수 없는 성분이다. 따라서, 쓴맛을 느껴 섭취를 피하는 대신, 인간의 침 안의 단백질로 독성을 줄이는 방향으로 적응했다.


Kaki fruit. By Angelo DeSantis, 2007.


매운맛도 독성 성분이긴 하지만, 입뿐 아니라 다른 피부에도 영향을 미치는 색다른 성분이다. 맨손으로 김치를 담글 때, 손이 화끈거리는 이유이다. 다른 대부분의 쓴맛 성분은 피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매운맛도 쓴맛이 아닌 촉감의 하나로 발달했다.


A display of hot peppers and a board explaining the Scoville scale. By WhisperToMe.


감칠맛은 익힌 고기에서 느껴지는 맛이다. 생고기는 영양분이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맛있게 느끼는 것은 물론, 맛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감칠맛을 느끼는 미각은 사람이 불을 사용한 이후에 발달한 듯하다. 인간의 조상은 약 150년 전부터 불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35만년 전에 출현한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현재의 두뇌 크기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불을 사용해 고 에너지의 단백질을 소화하기 쉽도록 바꿀 수 있었기 때문이다.


Coto and meat. By Tambako The Jaguar, 2014.


사람은 익히지 않은 곡물의 맛도 거의 느끼지 못한다. 생쥐와 같은 동물은 타액 속에 녹말의 소화 효소가 있지만, 사람은 췌장에서 분비한다. 인류가 농업을 시작한 것은 약 1만년 전으로, 곡물은 사람의 주된 음식 중 가장 역사가 짧다.


Hiir. By Taawet, 2011.


곡물의 주성분인 녹말은 당분이 서로 결합하여 커다란 구조가 된 것이다. 바나나 같은 과일에도 녹말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 크기는 비교적 적다. 따라서, 사람의 타액은 작은 크기의 녹말 만을 당분으로 바꿀 수 있다.

결국, 사람은 익히지 않은 곡물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진화할 시간도 없었고, 불을 사용하여 녹말을 작은 크기로 분해할 수 있었기 때문에, 큰 크기의 분자를 갖는 생 곡물의 맛은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

사람은, 이런 맛들 중, 단맛과 짠맛, 감칠맛은 어느 정도 까지는 농도가 올라갈수록 좋아하지만, 쓴맛, 매운맛, 떫은맛은 농도가 높을수록 싫어한다.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aste perception and oral microbiota composition. By Camilla Cattaneo, Giorgio Gargari, Ranjan Koirala, Monica Laureati, Patrizia Riso, Simone Guglielmetti & Ella Pagliarini, 2019.


단맛과 짠맛도 너무 강하면 싫게 되는데, 몸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항상성을 깨기 때문이다. 즉, 단맛과 짠맛은 농도 15 % g/ml를 가장 좋아하는데, 식사 직후의 혈당 농도와 혈중 염분 농도에 가깝다.


By Julie A. Mennella, Susana Finkbeiner, Sarah V. Lipchock, Liang-Dar Hwang, Danielle R. Reed, 2014.


신맛은 아주 작은 농도에만 좋은 느낌을 주는데, 신체에 필요한 비타민-C 때문이다.

물론 김치처럼, 매운맛 등을 좋아하게 되기도 하지만, 이것은 본능이 아니라 자라면서 학습하는 것이다. 캡사이신 등의 성분은 살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음식과 같이 먹으면 몸에 이롭다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이런 경험이 없는 어린아이는 쓴맛, 매운맛, 떫은맛은 양이 적더라도 싫어한다. 즉, 대부분 채소를 싫어하는데, 약간의 쓴맛 때문이다.

정리하면, 음식의 맛에서 가장 중요한 감각은 입에서 느껴지는, 짠맛, 단맛, 쓴맛, 신맛, 떫은맛, 매운맛, 감칠맛인데, 인간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감각이었기 때문에, 미각으로 발전했다.

따라서, 여러 재료로 음식을 만들거나, 술에 맞는 안주를 고를 때는 이 7가지 맛을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레스프리 관련 상품 – 달콤한 과일향 술

1. 엑스레이티드
2. 미도리

관련 게시물

 맛있는 안주이론

참고 자료

1.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Food and Human Taste, Paul A.S. Breslin, 2013.
2. Why do we need salt?

2019년 4월 11일 목요일

비린내는 쇠가 만든다 | 안주 페엣

생선 요리와 함께 레드 와인을 마시면, 비린내가 짙어지기도 하고, 면도칼 맛이라고 표현되는 철분의 느낌이 느껴지기도 한다.


이것은 해산물에 많이 있는 성분이 와인에 포함된 철분을 산화하여 생기는 냄새이다.

이 성분은 산화된 질소화합물(Tri-methyl-amine-oxide, TMAO)인데, 기능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된 역할은 생체 기관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서 인 듯하다.

이 성분은 대부분의 생명체에서 발견되는데, 특히 바다에서 사는 동물에 많다.

세포 외부의 염분 농도(바다 3 %)가 내부(1 % 이하)보다 높으면, 물 분자는 삼투압에 의해 세포를 빠져나갈 확률이 커진다. 해당 질소화합물의 산소 부분은 구조상 전기적인 극성이 강해, 물 분자의 수소 부분을 강하게 끌어당기기 때문에, 수분을 세포 안에 잡아둘 수 있다.


Simulated anisotropy decays of the G1, G2, and G3 O?D groups in aqueous TMAO solutions. By Tatsuhiko Ohto, Johannes Hunger, Ellen H. G. Backus, Wataru Mizukami, Mischa Bonnb and Yuki Nagata, 2017.


이 산화된 질소화합물이 산소를 잃어 만들어지는 성분(Tri-methyl-amine, TMA)이 비린내를 만들어 낸다.

살아 있는 물고기에서는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 이유는, 주로 세균의 번식에 의해 산소를 잃기 때문이다.

세균 중 철을 산화시키는 종류(Iron-oxidizing Bacteria)는 질소화합물을 이용해 철분을 산화시키거나, 역으로 산화된 철분에서 산소를 제거한다.


Streptomyces Volatile Compounds Influence Explor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Dynamics by Altering Iron Availability. By Stephanie E. Jones, Christine A. Pham, Matthew P. Zambri, Joseph McKillip, Erin E. Carlson, Marie A. Elliot.


즉, 철분은 모든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인 성분인데, 산화된 질소 화합물에서 분리한 산소로 철분을 산화시켜 물에 녹지 않게 하여, 다른 세균을 막는다.

이 세균은 유기물이 풍부하고 산소, 물이 있는 곳에서 왕성하게 증식하는데, 이 질소 화합물까지 풍부한 죽은 어패류는 세균에게 최적의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가끔 물이 고인 웅덩이 같은 곳에서 물 비린내가 나기도 하는 이유도 해당 세균 때문이다.


사람도 건강 상태가 나빠지면 입에서나, 여성의 주요 부위 등에서 비린내가 나기도 하는 것은 같은 이유이다.

세균이 없는 경우에도 수분이 있으면 철분은 산화되는데, 물에 젖은 쇠에 녹이 스는 이유이다.


따라서, 생선 등의 바다에서 난 수산물을, 철분이 풍부한 레드 와인과 함께 마시면, 질소화합물이 산소를 잃어 비린내가 심해지고, 철분이 산화되어 녹슨 면도칼 느낌이 날 수 있다.

따라서, 건강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거부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해산물에는 화이트 와인을 곁들이는 것이 좋다.

어패류 중에서 민물에서 나는 것에는 레드 와인도 큰 문제가 없고, 해산물이라도 철분이 적은 레드 와인을 곁들이는 것은 그다지 나쁘지 않다.

레스프리 관련 상품 – 인기 화이트 와인

1. 프란지아 화이트
2. 켄달잭슨 샤도네이

관련 게시물

 맛있는 안주이론

참고 자료

1. Trimethylamine N-oxide.

2019년 4월 3일 수요일

단맛이 향이다 | 리큐르 페엣

단맛은 다른 맛과 향을 짙게 만드는데, 가장 맛있게 느끼는 당도는 15 % 정도이다.

단맛이 없으면 모든 음식이 맛없어진다. 단맛은 좋은 맛은 강하게 하고, 불쾌한 맛은 줄이는 작용을 한다.

특히, 음식의 향은 당분이 만든다. 당분을 제거한 복숭아 추출물 용액을 제공한 실험에서, 피실험자는 복숭아 향으로 느끼지 못했다. 또 채소와 육류에 미량의 설탕을 더한 경우에는, 채소 맛과 고기 맛이 더 강하다고 느꼈다.

반대로, 음료나 소스의 신맛이나 쓴맛은, 당분을 더한 경우 약하다고 느꼈다.

이것은 인간의 뇌에서 특정한 맛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뇌는 맛을 종합하여 판단을 내리기 때문인 듯 하다.


Neural projections from the sweet (green) and bitter (red) cortex terminate at distinct targets in the amygdala in the brains of mice. By Li Wang, 2018.


따라서, 긍정적인 맛인 단맛이 느껴지면, 다른 향이나 맛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느끼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통각으로 이루어진 매운 맛의 음식에 설탕을 더하면 매운 맛이 덜해지는 것도 비슷한 원리로 보인다.

하지만, 단맛이 항상 긍정적인 방향으로만 작용하지는 않는다.

너무 단맛이 너무 강하면 부정적으로 느끼게 된다.


Mean liking ratings for each of the three clusters as a function of sucrose concentration. By Ji-Yoon Kim, John Prescott, Kwang-Ok Kim, 2014.


가장 맛있게 느끼는 당도는 성인인 경우 15 % g/ml 정도로 보인다.


By Julie A. Mennella, Susana Finkbeiner, Sarah V. Lipchock, Liang-Dar Hwang, Danielle R. Reed, 2014.


레스프리 관련 상품 – 달콤한 술

1. 베네딕틴 DOM
2. 콰이페

관련 게시물

 너무나도 달콤한 술

참고 자료

1. The Taste of Sugars, Stuart A. McCaughey, 2009.
2. Preferences for Salty and Sweet Tastes Are Elevated and Related to Each Other during Childhood, Julie A. Mennella, Susana Finkbeiner, Sarah V. Lipchock, Liang-Dar Hwang, Danielle R. Reed, 2014.

달콤하면 짙게 오래간다 | 리큐르 페엣

알코올 도수와 당도가 높으면 향이 잘 우러나지만, 숙성되면 한약의 향이 날 수도 있다.


Licorice Root.


알코올과 당분 용액으로 재료의 성분을 우려내면, 효율적으로 성분을 추출할 수 있고, 우려낸 성분을 오래 보존할 수도 있다.

식물 세포막은 동물과 달리 알코올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보호막이 파손되면 성분이 빠져 나와 향이 우러난다.

   썩지 않는다

당분의 농도가 높으면, 삼투압에 의해 세포 내부의 액체가 빠져 나와 향이 더욱 짙어진다.



세균의 세포막도 알코올에 약하고, 당분에 의한 삼투압에 의해 수분도 잃기 때문에, 살균력도 커진다.

따라서, 약초나 과일을 알코올에 담가 향을 우려낼 때, 알코올 도수와 당도를 올리면, 향도 짙어지고, 세균의 증식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물론, 한약을 다리는 것이나 국을 끓이는 것처럼 열을 가하는 것이, 식물 세포막을 파괴하는 더욱 빠른 방법이다. 하지만, 다른 유기물도 열에 약하기 때문에, 일부 의도하지 않았던 성분이 소실될 수 있다.

특히, 과일 등의 향기 성분은, 열을 가하면 휘발하여 날아가거나 파괴되어 버린다.

세균도 번식할 수 있어 냉장고 등에 보관해야 한다.

따라서,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알코올과 설탕 용액에 우려내는 것이, 약효나 향기를 더 완벽히 우려내고, 우려낸 성분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리큐어도 숙성될 수 있다. 과일 향은 알코올과 당분의 농도가 높은 용액에서 한약 향으로 변한다.

특히, 잘 익은 과일에서 나는 향(Acetaldehyde) 등은, 알코올과 용액 상태의 당분(Hemiacetal)과 만나면, 다른 향의 성분(Acetal)으로 변한다.


Conversion of an aldehyde to a hemiacetal to an acetal. By Ryan Neff, 2012.


이 성분은 감초 등 약초의 향을 내는 물질과 비슷하기 때문에, 과실주를 장기간 보관하면 한약 향이 나기 시작한다.

따라서, 사람에 따라 개선된 향으로도 느낄 수 있지만, 판매용 요리나 칵테일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종 상품의 맛에 변화가 있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레스프리 관련 상품 – 달콤한 술

1. 엑스레이티드
2. 아그와

관련 게시물

 너무나도 달콤한 술

참고 자료

1. Phenolic Composition S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ur Cherry Liqueurs, Anna Sokół-Łętowska, Alicja Z. Kucharska, Antoni Szumny, Katarzyna Wińska, andAgnieszka Nawirska-Olszańska, 2018.
2. Acetal.